다들 흰머리! 하면 어떤 게 떠오르시나요?
- 노화의 상징
- 검은 머리가 파뿌리가 되도록...
보통은 나이가 들어 자연스레 생기는 흰머리를 떠올리실 것 같은데요 😊
노화와 상관없이 흰머리가 나기도 하죠 ^_ㅠ (ex. 새치 마음이 아프다..)
Q. 그렇다면 흰머리는 정확히 어떤 상태를 의미하는 걸까요?
모근에 있는 멜라닌을 만들어내는 세포(melanocyte)의 기능이 저하되면 멜라닌 색소가 감소하는데요
이로 인해 눈으로 보았을 때 머리카락이 하얗게 보이는 상태가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흰머리입니다.
검은 머리 사이에 있어 더욱 부각되어 보이는 새치는
머리카락 - 코털 - 눈썹 - 속눈썹 순서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데요,
머리카락에 가장 먼저 나타나는 이유는 생장기에 있는 모발의 수가 가장 많기 때문이죠.
Q. 흰머리는 왜 발생하는 건가요?
흰머리는 멜라닌 생성이 감소하여 발생하는데요
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
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임기 전과 임기 후 모발을 비교한 사진, 본 적 있으신가요?
8년간의 대통령 임기 후 흰머리가 눈에 띄게 늘었는데요,
대통령으로서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.
오바마 대통령의 사례에서 보듯 흰머리가 나는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는 "스트레스"로 알려져 있는데요.
프랑스혁명 당시,
'마리 앙투와네트' 왕비가
처형 전 극심한 스트레스로
하룻밤 만에 백발이 됐다는
속설도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.
때문에 '마리 앙투아네트 증후군'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
2020년 '네이처'지에 이 속설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!
스트레스가 모낭에 주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입증해 냈는데요.
노화가 되기 전 생기는 흰머리, '새치'의 중요한 원인을 입증한 하버드의 최신 연구 내용을 영상으로 쉽게 담아봤습니다.😁
영상 보기엔 너무 바쁘고
원하는 내용을 Ctrl + F 로 쉽게 찾고 싶은 여러분을 위해서 간단하게 요약해 보자면
[출처 | Zhang, B., Ma, S., Rachmin, I. et al. Hyperactivation of sympathetic nerves drives depletion of melanocyte stem cells. Nature 577 , 676–681 (2020) | https://doi.org/10.1038/s41586-020-1935-3 ]
해당 연구에서는 흰머리를 유발할 수 있는 3가지 환경 조건을 설정하여 쥐에게 실험을 진행했는데요
1.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 2. 예측 불가능한 자극 3. 통각 수용 통증 |
이 세 가지 방법 중 RTX 통증 주사를 주입한 3. 통각 수용 통증이 가장 많은 흰머리를 유발했다고 합니다.
RTX란 resinferatoxin이라는 캅사이신 유사체로,
고춧가루 보다 500 ~ 1000배가량 더 매운 물질인데요.
위의 그림과 같이 RTX 통증 주사를 주입했을 때 Saline(생리식염수)과는 달리 흰색 털이 자라났습니다.
이때 쥐의 몸속에서 어떤 차이가 생겼는지 보면 흰머리를 유발하는 물질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겠죠?
연구진은 부신에서 노르아드레날린(noradrenaline)과 코르티코스테론(corticosterone)이 대량 분비되었음을 확인했는데요
노르아드레날린 vs 코르티코스테론
둘 중 어떤 물질이 진짜로 흰머리를 유발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또 다른 실험을 진행했습니다.
바로 두 개 중 한 가지 성분을 제거하고 RTX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이었는데요
(여기서는 코르티코스테론을 제거하고 RTX 주사를 주입)
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"노르아드레날린"이 흰머리를 유발하는 성분임을 확인하였습니다.
사람의 교감신경말단에서도 노르아드레날린이 분비되는데요
인간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을 때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흰머리가 발생하게 됩니다.
교감신경말단 → 부신 → 노르아드레날린 분비 → 줄기세포 생장·분화에 영향 → 멜라닌 세포 생성 저하 → 흰머리 발생
노화나 스트레스 요인 외에 갑상선 기능 항진증, 당뇨 등의 다양한 질병에 의해서도 멜라닌 세포가 사멸되어 흰머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Q. 그렇다면 흰머리는 어떻게 치료하나요?
아쉽게도 아직 흰머리에 대한 뚜렷한 치료 방법은 없습니다.
대신에 흰머리를 가리고자 주로 염색을 하는데요,
염색약은 PPD라는 성분으로 인해 두피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.
그래서 바이오스펙트럼에서는
1. 멜라닌 생성 촉진 흑화 = Darkui
2. 염색약으로 인한 두피 손상 보호 = Obayza (N)
두 가지 원료를 개발했는데요 관심이 있다면 하기의 링크 클릭 부탁드려요 :)
BioSpectrum, Inc. - Darkui
고품질의 천연 화장품 원료 개발 기업입니다.
www.ebiospectrum.kr
BioSpectrum, Inc. - Obayza (N)
고품질의 천연 화장품 원료 개발 기업입니다.
www.ebiospectrum.kr
댓글